전공 - IT
-
Ubuntu(22.04) - Contiki-NG 설치하기전공 - IT/졸업작품 2023. 7. 12. 19:41
우분투에 Contiki-NG를 설치했다 ( Contiki 설치글은 글 하단에 있다 ) 설치 과정을 사진으로 남긴 후 아래는 실행순서대로 명령어들을 정리해 놓았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openjdk-17-jdk wget http://simonduq.github.io/resources/mspgcc-4.7.2-compiled.tar.bz2 ls tar --bzip2 -xf mspgcc-4.7.2-compiled.tar.bz2 ls sudo cp -R msp430 /usr/local /usr/local/msp430/bin/msp430-gcc -v git clone https://github.com/contiki-ng/con..
-
데이터 베이스 기초 - 기본키, 후보키, 대체키, 외래키, 테이블, 상속, 관계의 표현전공 - IT/데이터베이스 2023. 4. 8. 00:19
기초 용어 슈퍼키란 대상을 구분할 수 있는 키들을 말하며 단일키와 복합키로 범위가 넓다 후보키란 기본키가 될 수 있는 단일 키들을 말한다 기본키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고 후보키인 학번과 주민번호 중에서 정하는 것이다 대체키는 기본키를 사용하지 못한다게 된다는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기본키를 대체하여서 사용할 수 있는 키를 말한다 ( 반장이 자리 비웠을때 부반장이 반을 대표하는 역할 ) 외래키란 학생테이블에 있는 학과 코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학과 테이블의 학과 코드와 내용이 같기 때문에 학과 테이블에서 기본키인 학과코드를 참고하여 학생테이블에서 학과코드를 외래키로 설정할 수 있다 학생테이블에서 기본키, 속성, 튜블에 대한 정보는 위 사진에 색으로 구분해 놓았다 학생테이블에서 학번, 이름, 학년, 학과..
-
네트워크 개념 - 프로토콜의 이해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2023. 4. 2. 23:39
모듈화 하드웨어 측면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같은 작은 부품들이 모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복잡한 시스템을 기능별로 모듈화 하면 시스템 구조가 단순해져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쉬워진다 각 단위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장이나 업그레이드 등의 상황에 손쉽게 대처가 가능함 소프트웨어 측면 일반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 개념을 사용해 전체 프로그램을 모듈화 할 수 있다 함수별로 특정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각 함수가 개별적으로 설계되고 구현된다 함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함수의 매개변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다 시스템을 모듈화 하지 않는다면 어떤 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전체 시스템을 고쳐야 한다 계층구조 네트워크에서는 독립적인 고유 기..
-
네트워크 기초 - 주소의 표현, 주소와 이름, 주소 정보의 관리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2023. 4. 2. 23:09
주소의 표현 유일성 구분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상을 서로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대상이 같은 구분자를 갖지 않는 유일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완전한 확장성을 전헤로 하는 유일성을 보장하기는 불가능하다 확장성 시스템은 시간이 흐르면서 이용자가 증가하는 보편화 과정이 진행되므로 자연스럽게 규모가 확장된다 시스템의 최대 수용 규모를 예측하여 구분자의 최대 한계를 올바르게 설정하지 않으면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제한되어 시스템의 확장성도 제한받게 된다 편리성 시스템 설계 과정에서 부여되는 구분자는 시스템의 내부 처리 구조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시스템 내부 동작에 종속된 구분자의 주소 체계는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워서 문자로 된 이름을 추가로 할당 숫자로 ..
-
네트워크 기초 - 구조적 모델 2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2023. 4. 2. 22:30
인터네트워킹 의미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인터네트워킹이라 하며, 연결되는 네트워크 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커진다 네트워크 연결 :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2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려면, 이를 적절히 연결하여 데이터를 중개할 수 있는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이 필요하다 게이트웨이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라고 부른다 리피터 물리 계층의 기능을 지원 물리적 신호는 전송 거리가 멀수록 감쇄되기 때문에 중간에 이를 보완해주어야 한다 리피터는 한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물리적으로 단순히 증폭하여 다른 족으로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 리피터 기능에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물리 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해 준다 라우터 물리 계층, 데이터링..
-
네트워크 기초 - 구조적 모델 1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2023. 4. 1. 00:05
OSI 7계층 모델 -> ISO 에서는 OSI 7계층 모델을 제안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본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정의함 -> OSI 7계층 모델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들은 7개 계층으로 모듈화 된 전송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일반 사용자는 OSI 7계층 맨 위에 있는 응용 계층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하며, 이 요청은 하위 계층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맨 아래에 있는 물리 계층을 통해 상대 호스트에 전송한다 ( 응용 -> 물리 ) -> 데이터를 수신하는 호스트에서는 송신 호스트와는 반대 방향으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 물리 -> 응용 ) 계층별 기능 1. 물리계층 -> 호스트를 전송 매체..
-
네트워크 기초 - 용어의 정의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2023. 3. 31. 23:17
네트워크 기초 용어 - 네트워크 : 하드웨어적인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 -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 - 프로토콜 :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 - 표준화 :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 시스템 ( System ) ->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내부 규칙에 다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 시스템이 여러 개 모여 더 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크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나누지는 않는다 -> 우리가 알고있는 인터넷은 수많은 소규모 네트워크들이 서로 연동되는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거대 연합체의 네트워크이다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