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Ubuntu - JSP, Servlet 초기설정하기WEB 만들기/mk_web - JSP, Servlet 2023. 9. 11. 16:30
JSP, Servlet 으로 개발하기위해 우분투에서 초기설정을 진행했다 jdk 11 패키지 설치 tomcat9 설치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하기위해 위의 명령어 추가로 실행 tomcat9 시작해주고 컴퓨터 킬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enable도 해줬다 127.0.0.1:8080 으로 접속하면 위와 같이 기초페이지가 나온다 위의 파일을 열어서 관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해준다 ( 57 ~ 59 번째 라인은 새로 작성하였음 ) manaber webapp 링크를 클릭한다 위에서 설정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관리자 페이지가 나온다 ~ 위치에 jsp를 입력하면 /var/~~~/ROOT로 이동하도록 설정했다
-
문수공학제 - BITB를 이용하여 피싱사이트 제작하기동아리/23 - 2 2023. 9. 10. 22:57
동아리 활동 관련하여 문수공학제에 체험활동을 진행하기 위하여 BITB 를 이용하여 피싱사이트를 제작했다 피싱사이트를 제작하고 이용자의 입력값을 메모장으로 가져와 수집하는 작업도 추가했다 위와 같이 BITB 관련하여 github에서 기초적인 파일을 다운받았다 피싱사이트의 대상은 tistory로 정하였고 위와 같이 피싱사이트를 만들었다 체험활동할 때에는 192.168...인 ip 주소도 변경할 예정이고 로그인 페이지의 경로도 그대로 복사해서 가져왔다 실제 티스토리 사이트에서는 위와 같이 작은 창이 뜨지 않고 새로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하지만 BITB 공격을 위하여 작은 창이 뜨도록 했고 카카오계정, 티스토리계정, URL 까지 그대로 복사했다 카카오계정으로 위와 같이 실험용 데이터를 입력하고 로그인했다 ..
-
M1 Mac h2 database 설치하기WEB 만들기/mk_web - 스프링 부트 2023. 9. 10. 21:14
스프링을 공부하면서 h2 database를 설치해보았다 h2 database는 용량이 작은 매우 가벼운 데이터베이스이다 https://www.h2database.com/html/main.html 위 사이트에 접속해서 h2database를 설치해준다 (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는 파일을 설치해줘야 한다 )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h2 -> bin 으로 이동한 뒤 h2.sh 파일의 권한을 부여해주고 실행한다 실행중일때만 데이터베이스가 작동하므로 중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함 위와 같이 나오고 연결버튼을 눌러준다 ( 만약 나타나지 않는다면 localhost:8082/~~ 로 변경해주면 접속이 가능하다 ) 위와 같이 초기화면이 나타난다 ~ 경로에 위의 명령어로 확인해보면 test.mv.db 라는 파일이 생..
-
VMWare Fusion USB 저장경로 변경하기도라에몽 주머니/M1 MacBook Air 2023. 9. 10. 12:05
기존에 256G USB에 가상화 파일을 보관하다가 512G USB로 가상화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해주었다 우분투, 칼리 리눅스, 윈도우 11을 이동해주었으며 데이터손실없이 모두 정상적으로 이동되었다 위 사진과 같이 옮기고자 하는 USB에 가상화 파일을 모두 복사해서 옮겨 준다 위 사진은 가상화 파일 복사에 성공한 사진이며 초기에는 아래에 있는 4개가 없었다 File -> Scan for Virtual Machines... 클릭 스캔목록에 내가 복사한 폴더의 경로를 추가해준다 폴더안에는 우분투, 칼리리눅스, 윈도우 11 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있다 정상적으로 이동및 실행이 되었고 I Copied it 눌러주면 끝이다
-
Intelli J run 버튼 활성화 시키기WEB 만들기/mk_web - 스프링 부트 2023. 9. 9. 20:47
어찌저찌하다보니 run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어서 활성화시켜줬다 위 사진과 같이 실행버튼이 비활성화상태이다 초록색 망치 옆에 Current File을 클릭하고 Edit Configurations... 클릭 + 버튼을 누르고 Application 클릭 제일 위쪽에 Name에 Main 이라고 이름을 적는다 빨간색 테두리되어있는 부분에 Main Class의 경로를 선택해준다 ( 위와 같이 자동으로 나온다 ) 경로를 지정하고 을 ~~.main으로 변경한다 Apply 누르고 Ok 누르면 실행버튼이 활성화된다
-
따라하며 공부하기 5.3 - 인스타그램 코딩으로 구현하기APP 만들기/ios - study 2023. 9. 3. 12:28
클래스101 강의 중 '1만줄의 코딩[중급]' 강의를 보고 공부를 진행했다 Firebase를 이용하는 방법을 공부했다 현재 카카오톡과 같은 방식은 지원하고 있지 않아서 기본 제공업체를 이용했다 위처럼 사용설정을 허용해주고 저장버튼을 눌렀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도 만들었다 위치도 서울로 변경했다 모두 테스트모드로 했다 Firebase설정을 마쳤고 이후과정은 에러가 발생해서 일단 코드만 다 따라 하면서 공부를 완료했다 이전에는 코드만으로 앱을 만들지 못했는데 코드만으로 앱을 만드는것을 보니 신기하기도 하면서 많은 성장을 한 것 같아 좋았다
-
따라하며 공부하기 5.2 - 인스타그램 코딩으로 구현하기APP 만들기/ios - study 2023. 8. 28. 17:33
클래스101 강의 중 '1만줄의 코딩[중급]' 강의를 보고 공부를 진행했다 위와 같이 앨범에 있는 사진을 이용해서 사진을 등록하는데 까지 성공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하기 위해 Google의 Firebase를 이용하기로 했다 이름을 입력하고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하면 생성이 시작된다 다음으로 번들 ID를 입력해줬다 ( Xcode에 있는 아이디 입력해야 한다 ) 파일을 다운받을 위치를 고르고 다운받는다 그럼 위와 같이 GoogleService-info 파일이 생성된다 Xcode에 있는 API_KEY를 복사한다 다음다음 넘어가고 언어 Swift 선택하고 아래 복사해서 코드에 추가해 준다 터미널을 열어준 뒤 위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로 이동한다 위 터미널의 명령 중에서 pod init시 위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