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 IT/통신과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 - 용어의 정의

잉카콜라 2023. 3. 31. 23:17

네트워크 기초 용어

-  네트워크  :  하드웨어적인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

-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

-  프로토콜  :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

-  표준화  :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

 

 

시스템 ( System )

    ->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내부 규칙에 다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 시스템이 여러 개 모여 더 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크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나누지는 않는다

    -> 우리가 알고있는 인터넷은 수많은 소규모 네트워크들이 서로 연동되는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거대 연합체의 네트워크이다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촉 지점을 의미한다

    -> 하드웨어적인 관점과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이 모두 존재한다

 

전송매체

    ->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프로토콜

    -> 논리적으로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표준화된 대화 규칙

    -> 프로토콜은 상하 관계가 아닌 동등한 위치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규칙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인터페이스와 구분된다

 

네트워크

    -> 통신용 전송 매체로 연결된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칭한 것이다.

 

인터넷

    ->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 데이터 전달 기능에 한해서는 공통으로 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표준화

    ->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통일된 연동 형식

        ex) A4 용지 크기 표준화

 

 

시스템의 구분

 

노드

    -> 컴퓨터 이론 분야에서 특정 시스템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

    ->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통칭

 

라우터

    ->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며, 기본으로 데이터 전송 기능을 포함

 

호스트

    ->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되어 일반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접속 창구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 임의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 특정 서비스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관점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위 사진에서 FTP는 원격 호스트끼리 파일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텔넷은 원격 호스트에 로그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

Host 2 는 FTP 서비스를 제공하고 Host3 는 텔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박기현 지음

<수업자료 정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