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만들기/mk_web - 스프링 부트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잉카콜라 2023. 5. 19. 00:50

 

정적 컨텐츠

서버에서 따로 하는 것 없이 파일 그대로를 보여주는 것

스프링 입문 - 김영한 강사님

1. 웹브라우저에서 검색을 한다
2. 내장 톰켓 서버는 받은 요청을 컨테이너로 보내고 컨트롤러 쪽에서 hello-static이 있는지 먼저 찾아본다
3. hello-static 관련 컨트롤러가 없으므로 resources 내부에 hello-static을 찾은 뒤 있으면 그대로 반환해 준다

 

입력한 그대로 화면에 나타난다

 

 

 

MVC와 템플릿 엔진

php, jsp와 같이 서버에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친 후 동적으로 바꾸는 것
model view controler 를 MVC라고 한다

Controller : 내부적인 것을 처리등에만 사용
View : 화면을 그리는데만 사용

name을 입력값으로 받아오도록 해주었다 ( 16, 17번줄의 표시된 name은 같은 것이다 )

 

맥 기준 command + p 키를 누르면 위와 같이 required의 기본설정이 true임을 볼 수 있다

 

return이 hello-template이므로 hello-template를 만들어준다
입력받은 name을 이용하도록 해줬다

 

그냥 검색을 하고 접속하니 위와 같이 실패하였다

 

아래에 WARN이라고 실패 이유가 나와있다

 

name값을 필수로 전달해줘야 하는데 전달을 안 해줘서 에러가 발생하였다

 

name 값을 전달해 주니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

 

스프링 입문 - 김영한 강사님

 

정적 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차이

정적 컨텐츠는 정지되어 있는 화면 그대로를 보여주는 것이고, MVC와 템플릿 엔진은 서버 처리 결과에 따라 보여지는 것이 달라지는 것

 

 

 

API

JSON 형태로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전달 ( React, 서버끼리의 통신 등등 )

페이지를 보니 정상적으로 나왔다

 

하지만 소스보기를 통해 보니 다른 거 다 사라지고 문자만 나왔다

 

객체를 만들어 값을 전달해 보았다

 

JSON 형식으로 화면에 나타났다

 

스프링 입문 - 김영한 강사님

 

 

 

 

인프런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접근기술

https://inf.run/KoDY

사진과 강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김영한 강사님 영상에 있습니다

728x90